📢 티스토리 도메인 적용 후 이전HTML코드, 삭제해야 할까? (구글·네이버 색인 문제 해결!)
티스토리 블로그에 도메인을 적용한 후, 기존 HTML 인증 코드를 삭제해야 할까요?
구글 서치콘솔(Google Search Console)과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(Naver Search Advisor)에서 색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 도메인 변경 후 기존 코드가 남아 있을 경우 플러그인 충돌이 발생하거나 인증 오류가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기존 HTML 코드 삭제 여부와 새 도메인 등록 방법, 그리고 SEO 최적화 팁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.
🔎 1. 기존 HTML 코드 삭제해야 할까?
도메인을 적용한 후에도 기존 HTML 인증 코드가 남아 있어도 색인 자체는 가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그러나 최적의 설정을 위해 삭제를 권장합니다.
🔥 기존 HTML 코드 삭제를 추천하는 이유
✅ 1) 기존 인증 코드는 이전 블로그 주소 기반
구글 서치콘솔과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는 등록된 도메인 기준으로 색인을 관리합니다.
즉, 기존 HTML 코드가 블로그.tistory.com을 인증한 상태라면, 새 도메인 도메인주소 .com을 위한 별도의 인증 과정이 필요합니다.
✅ 2) 새 도메인으로 재등록 시 인증 방식 변경 가능성
도메인 적용 후에는 DNS TXT 레코드 방식 인증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만약 이 방식을 적용한다면, HTML 인증 코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✅ 3) 불필요한 중복 코드 방지
HTML에 인증 코드가 2개 이상 있더라도 서치콘솔이 정상 작동하는 경우도 있지만,
불필요한 코드가 남아 있으면 오류 가능성이 커지고, 색인 속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특히 코드가 잘못 등록되어 있다면 인증이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.
🛠 2. 구글 서치콘솔 &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재등록 방법
🌍 구글 서치콘솔(Google Search Console)
1️⃣ 새 도메인으로 사이트 등록
- 구글 서치콘솔 접속
- 속성 추가 클릭 → 도메인 선택 후 도메인주소 .com 입력
- DNS TXT 레코드 인증(가장 추천) 또는 HTML 태그 인증 선택
2️⃣ 기존 HTML 코드 삭제 후 새 코드 적용
- HTML 인증 방식을 유지할 경우, 기존 코드 삭제 후 새 코드 삽입
3️⃣ 새 도메인의 색인 요청
- 도메인주소.com/sitemap.xml 사이트맵 제출
- URL 검사 도구를 이용해 주요 페이지 색인 요청
🌏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(Naver Search Advisor)
1️⃣ 새 도메인 등록
-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접속
- 사이트 등록 → 도메인주소 .com 입력 후 새 인증 코드 받기
2️⃣ 기존 HTML 코드 삭제 후 새 코드 적용
- HTML 인증 방식 유지 시 기존 코드 삭제 후 새 코드 삽입
- 또는 DNS TXT 레코드 방식으로 인증 (HTML 코드 없이 가능)
3️⃣ 사이트맵 제출 및 색인 요청
- 도메인주소.com/sitemap.xml 제출
- 주요 페이지 색인 요청
📌 결론: 기존 HTML 코드는 삭제하는 것이 좋음
도메인을 변경했다면 기존 HTML 인증 코드를 삭제하고, 새 도메인 기준으로 다시 인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.
✅ 기존 코드가 남아 있어도 색인이 될 가능성은 있지만, 불필요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삭제하는 것이 SEO 최적화에도 유리합니다.
✅ DNS 인증 방식을 활용하면 HTML 코드 없이도 보다 간편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.
✅ 도메인 변경 후에는 새 도메인에 맞춰 색인 요청을 진행해야 검색 엔진에서 제대로 반영됩니다.
🔹 TIP! 도메인 변경 후에는 플러그인 충돌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.
특정 플러그인이 도메인 설정과 충돌하면 색인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, 문제 발생 시 비활성화 후 테스트해보세요!
🔚 맺음말
티스토리에서 도메인을 적용한 후 기존 HTML 인증 코드 삭제 여부는 블로그 색인과 SEO 최적화에 중요한 요소입니다.
구글과 네이버 검색엔진이 새 도메인을 정확히 인식하고 색인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, 기존 코드 정리 및 새로운 인증 과정을 거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.
도메인 변경 후 색인이 잘 안된다면,
🔸 구글 서치콘솔 &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서 새 도메인 등록 및 색인 요청을 확인하세요!
🔸 DNS 방식으로 인증하면 HTML 코드 없이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🔸 플러그인 충돌이 의심된다면 비활성화 후 재설정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
💡 도메인 변경 후 색인 속도를 높이고 싶다면?
👉 사이트맵 제출 + 주요 페이지 URL 색인 요청을 꼭 진행하세요!
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